Spring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DispatcherServlet ServletContainer SpringContainer 스프링부트를 이용해서 혼자서 공부겸 개발을 하다가 보니까 각종 에러나 예외에 대해 맞닥드리게 되는데..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이해도가 없어서 에러내용을 봐도 감이 오질 않았다.. 사실 전 yoon9.tistory.com 위에 저번글에서 다룬 내용중 서블릿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근데 저는 개발을 하면서 스프링부트를 주로 이용하였지만 스프링프레임워크도 한 번 경험이 있엇는데.. 위에 글의 내용과 같이 web.xml에서 각 서블릿에 맞는 매핑을 설정을 해줘야한다고 했는데.. 그런적은 한 번도 없고 dispatcherServlet를 사용하였다 그럼 dispatcherServlet는 뭘까..? 스프링MVC에서는 dispatcherServlet를 .. ServletContainer SpringContainer 스프링부트를 이용해서 혼자서 공부겸 개발을 하다가 보니까 각종 에러나 예외에 대해 맞닥드리게 되는데..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이해도가 없어서 에러내용을 봐도 감이 오질 않았다.. 사실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공부를 해놨지만.. 계속 코딩을 하고 스프링부트 자체가 기본적으로 제공을 해주는 것이 많아서 까먹게 되어서 복습겸 정리를 할려고 이 글을 정리를 해야겠다.. 처음으로 ServletContainer 와SpringContainer을 이해하기 전에 WebServer와 was(WebApplicationServer)에 대해 간단히 이해를 해보자 WebServer는 정적 데이터만 전달을 하는 webServer이다. 기본적으로 client에 requset를 받아서 정적인 컨텐츠 예를 들어(css,html)등등..을.. 디자인 패턴 - 생성패턴 -Factory Method 디자인 패턴은 자주 사용하는 설계패턴을 정형화하여서 유형별로 가장 최적의 방법으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정해둔 설계알고리즘 및 솔루션(프로젝트의 상황에 따라 맞춰 적용.) 디자인패턴은 많이 존재하지만 다 알 수는 없으니 대표적인 디자인 패턴 (Gang of Four)23개의 패턴이 있음. 즉 객체지향적 개념에 따른 설계 중 재사용할 경우 유용한 설계를 디자인패턴으로 정리해둔 것이다. (Gang of Four)의 디자인패턴에서는 객체지향적 디자인 패턴의 분류를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행동 패턴(Behavioral Pattern) 3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디자인 패턴의 장점 -개발자 간의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개발에 협업이 가능하게 도와.. SPRING MVC.2 1. HttpServletRequest 2. Model model view쪽으로 전송을 하기위한 데이터 model. 3. @Request Param 1. HttpServletRequest @RequestMapping("board/confirmId") public String confirmId(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 Model model) { String id = httpServletRequest.getParameter("id"); String pw = httpServletRequest.getParameter("pw"); model.addAttribute("id", id); model.addAttribute("pw", pw); return "board/conf.. Spring MVC SPRING MVC 패턴 흐름 이해하기.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MVC 패턴의 흐름을 보아도 직접적으로 와 닿지 않아서 줄줄이 글로 쓰면서 내가 공부한것을 기록합니다. MVC 패턴-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 Model View Controller를이용하는 개발패턴입니다 여기서 Model은 데이터라고 생각하면 될 것같고, View는 해석하는 그대로 보여지는 화면, Controller는 Model과 View를 연결해주는 중간다리 역할이라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Project구조. client가 URL요청을하면 DispatcherServlet가 받아서 해당 Controller로 넘어가는 흐름. 을 appServlet로 정하고 class를 DispatcherServlet로 설정. servle.. Spring DI spring framework의 DI 설정방법. 1. Xml 사용 2. Java 사용 3. xml+Java 사용 xml을 사용하여 DI를 설정하는방법을 처음으로 배웠으므로 진행합니다. xml로 빈을 따로 관리하는것은 분리를 해서 좋을 수도 있지만.. 계속되는 빈설정은 안 좋을수도..? xml사용으로 중점으로 하겠음. eclipse에서 Java class의 constructor getter,setter를 만들어서 구성하듯이 똑같이 만들어줍니다. package com.javalec.ex; public class Student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age; private String gradeNum; private String classNum; public Stu..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