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TL
JSTL <Tag>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5가지 있습니다.
1.DataBase (prefix : sql)
-DB관련 CRUD 처리
2.Formatting (prefix : fmt)
-포맷 처리, 국제화 지원
3.XML (prefix : x)
-XML관련 처리
4.Core (prefix : c)
-변수 지원, 제어문, 페이지 관련 처리
5.Function (prefix : fn)
-collection 처리, String 처리.
JSTL <Tag> 선언.
Database - <%@ taglib prefix="sql" uri="http://java.sun.com/jsp/jstl/sql" %>
Formatting - <%@ taglib prefix="fmt" uri="http://java.sun.com/jsp/jstl/fmt" %>
XML - <%@ taglib prefix="x" uri="http://java.sun.com/jsp/jstl/xml" %>
Core -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
Function - <%@ taglib prefix="fn" uri="http://java.sun.com/jsp/jstl/functions" %>
이렇게 prefix의 접두사와 uri를 적어서 jsp태그를 이용하여 선언 후에 jstl를 사용할 수있다.
접두사는 굳이 저렇게 정할 필요는 없지만, 자기가 편한대로 선언 해도 된다고합니다.
게시판을 만들면서 나온 <c:forEach> 태그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c:forEach items="${list}" var="dto">
<tr>
<td>${dto.bId}</td>
<td>${dto.bName}</td>
<td>
<c:forEach begin="1" end="${dto.bIndent}">-</c:forEach>
<a href="content_view?bId=${dto.bId}">${dto.bTitle}</a></td>
<td>${dto.bDate}</td>
<td>${dto.bHit}</td>
</tr>
</c:forEach>
<c:forEach>는 주로 반복적으로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c:forEach items = "${list}" var ="dto">
ArrayList로 되어있는 list를 받아서 "dto"라는 이름으로 배열안의 값들을 꺼내서 사용한다.
begin= "시작 인덱스", end ="종료 인덱스" 입니다.
그럼 dto의 id나 name등등의 정보를 가져와서 jsp페이지에 띄어줍니다.